📢 오늘의 꿀팁/🏠 부동산

🏡 전세 계약할 때 반드시 확인할 체크리스트|피해 없이 안전하게 들어가는 법!

우럭왜우럭 2025. 5. 19. 07:28
728x90
반응형
SMALL

전세 계약 전 반드시 확인해야 할 체크리스트! 등기부등본 보는 법부터 확정일자, 보증보험, 관리비까지 꼼꼼히 정리한 실전 가이드.

전세 계약할 때 제일 많이 듣는 말,
“등기부등본만 떼면 되는 거 아냐?”

정답은 NO!
실제로는 확인해야 할 게 10가지가 넘습니다.
계약서에 도장 찍기 전에 이 글을 한 번만 읽어보세요.
실수 한 번이면 수천만 원이 날아갈 수도 있으니까요.


✅ 전세 계약 전 체크리스트 10가지

항목설명왜 중요할까?
1. 등기부등본 주소지 기준으로 발급 소유자 확인 & 근저당 여부 체크
2. 소유자와 계약자 일치 여부 대리 계약 시 위임장+인감 확인 실제 집주인이 맞는지
3. 전입신고 + 확정일자 입주일에 주민센터 or 정부24 신청 보증금 우선순위 보호
4. 전세보증보험 가입 가능 여부 HUG / SGI 보험 가입 가능한지 확인 계약 전 확인 필수!
5. 근저당 비율 보증금 < 선순위 채권이면 위험 낙찰가가 보증금보다 낮을 수도 있음
6. 관리비 내역 확인 수도, 전기, 가스 포함 항목 체크 이중 부담 방지
7. 집 상태 점검 곰팡이, 누수, 도어락, 수도 등 계약 전 사진 촬영 추천
8. 주변 시세 비교 호갱 방지용 가격이 터무니없이 높지 않은지
9. 건물 용도 확인 주택임대인지 확인 오피스텔, 상가 등은 주의
10. 계약금·잔금 계좌 명의자 반드시 소유자 명의로 입금 부동산 명의로 입금 ❌
 

🧾 부동산에서 꼭 해야 할 질문 5가지

  1. “이 집 보증보험 가입 가능해요?”
  2. “이전에 다른 세입자와 문제 있었나요?”
  3. “전입신고랑 확정일자 어디서 받나요?”
  4. “수도세나 전기요금이 많이 나오는 구조인가요?”
  5. “소유주분 직접 계약 맞으시죠?”

💡 주의할 부분: 이런 경우 위험할 수 있어요

  • 계약금 입금계좌가 소유주 명의가 아닌 경우
  • 등기부등본 상 근저당이 보증금보다 많은 경우
  • “보증보험 필요 없어요~” 하며 회피하는 집주인
  • 전입·확정일자를 당일에 못 받는 경우 (중개사 실수 or 지연)

💬 마무리 요약

전세 계약은 서류 싸움이자 정보 싸움입니다.
무조건 확인해야 할 건 세 가지입니다:

소유권 관계 (등기부등본)
보증금 안전장치 (확정일자 + 보증보험)
입주 전 확인사항 (집 상태 + 관리비 + 계약자 정보)

이것만 철저히 확인하면 웬만한 전세사기는 피할 수 있습니다.
여행보다 집 구할 때가 더 신중해야 하는 거, 아시죠?

728x90
반응형
LIST